2011년6월30일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 Musee du Louvre)
1789년 여름 파리의 바스티유 감옥을 습격한 군중들이 루브르궁까지 접수 후 왕족들이 버리고간
예술품들을 발견하고 놀라운 유산을 특정 계층이 독점하였던 것에 분노하여 예술품들을
몰수하여 전'국민(nation)'의 소유로 전환했다. 혁명의 열기가 최고조에 달했던 1792년
9월 27일 옛 루브르궁의 갤러리 자리에 '프랑스 박물관(Museum Français)'이 설립되
어야 한다는 법령이 공포되어 이 법령이 1793년에 실행되면서 오늘에 이르렀다.
루브르 박물관 뜰의 피라미드
1981년 미테랑 대통령은 루브르(Louvre)박물관 전체 건물을 박물관으로 사용하기 위해
'대 루브르 박물관(Grand Louvre)계획'을 발표하고 응모자 중에 1983년 '건축계의 노벨상'
이라 불리는 프리츠커상 수상자인 중국계 미국 건축가인 아이오밍페이(Ieoh Ming Pei) 의
설계안을 채택했다. 당시 프랑스인들은 유리 피라미드를 극심하게 반대했지만 루브르는 물론
프랑스 상징으로 좋은 건축은 옛것의 답습이 아니라 그 시대의 산물임을 증명하고 있다.
안토니 카노바(Antonio Canova 1757-1822) <프시케와 큐피드>
큐피드가 프시케(Psyche Revived by Cupid's Kiss) 에게 키스로
환생시키는 입맞춤을 하고 있는 모습을 형상화한 조각품
미켈란제로(Michelangelo Buonarroti.1475-1564/이탈리아)<죽어가는 노예상>
<죽어가는 노예>는 죽음까지도 딛고 일어서려는 인간의 의지를 표현하고 있다.
외젠 들라크루아(Eugene Delacroix. 1798-1863/프랑스)<사르다나 팔로스의 죽음>
죽음을 예감한 사르다나 팔로스가 독배를 마시기 직전 부하에게 자신의
애첩들과 애마를 죽이도록명령하는 장면
외젠 들라크루아(Eugene Delacroix.1797-1863/프랑스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
7월 시민혁명을 기념하여 1830년에 그린 그림으로 여성은 자유를 상징하며,
한 손에는 프랑스 국기(프랑스어: La Tricolore)를 다른 손에는 총검을
휘두르고 있다. 이 작품은 들라크루아의 작품 중 가장 유명한 그림이다.
테오도르 제리코(프랑스) <메두사호의 뗏목(The Raft of Medusa)>
816년 여름, 난파된 메두사호의 생존자 15명에 대한 갖가지
풍문이 떠돌자 제리코는 이 사건을 한 작품으로 구상했다.
사모트라케 섬에서 발굴(BC.220~!90/ 추정)<승리의 여신 니케상>
니케의 조각상은 배의 선미 장식품으로 사용되었다고 해서 루브르박물관에서도 뱃머리 조형물
위에 올려두고 상상할 수 있도록 했다. 여신의 몸과 두 날개만이 남았지만 이 정도의 조각상 만
으로도 충분히 그 가치를 실감해볼 수 있다. 바닷바람에 휘날리는 듯한 여신의 옷자락이 경이롭다
밀로 마나라(Milo Manara /이탈리아)<비너스>
대리석으로 만들어졌다고는 믿기 힘든 8등신의 조각상은 완벽한 균형미를
자랑하는 것이 특징이다.고대 그리스의 최고의 비너스 조각으로 평가받고 있다.
다비드(Jacques Louis David, 1749-1825)<나폴레옹 1세의 대관식
나폴레옹이 노트르담 대성당에서 대관식 모습으로 어마어마하게 큰 화폭 안에 많은 사람들의 얼굴이
자세하게 묘사되어 있어 각 인물의 초상화라고 생각해도 될 정도의 대작이다. 나폴레옹이 이 그림을
보고 "이것은 더 이상 그림이 아니다. 자 모두 안에 들어가서 거닐자"라고 말했다고 한다.
앵그르(Jean Auguste Dominique Ingres,1790-1867)의 대표작<그랑 오달리스크(Grand Odalisque)
오달리스크란 터키 궁전 밀실에서 왕의 관능적 욕구를 충족을 위해 대기하는 궁녀들을
지칭하는 말이다. 이 작품에서는 옛날 그리스 조각의 미적 요소들을 바탕으로 미학의 실체가
잘 나타났다. 앵그르가 이탈리아에 있을 때 나폴리왕국 카롤리네 여왕의 주문으로 제작하였다.
<카나의 혼인 잔치>
폭이 10미터의 대형 작품으로 나폴레옹이 베네치아 정복 전리품이다. 그림에 등장하는 등장
인물만 130여명이나 되니, 실제 결혼 피로연의 현장에 들어가 있는 듯한 기분이 든다.
성경에서 예수가 물을 포도주로 변화시키는 기적의 순간을 표현한 것으로 유명하다.
레오나르도 다빈치Leonardo da Vinci,1452-1519)<모나리자>
모나리자가 유명해진 이유는 무엇보다도 오묘한 미소 때문이다. 이탈리아 화가였던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프랑스로 이동하면서 모나리자 작품도 함께 프랑스로 건너가 루브르 박물관에 전시되었다
'Travel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부유럽여행(10박11일-2011년6월29일~7월9일)-2일 (0) | 2019.07.25 |
---|---|
서부유럽여행(10박11일-2011년6월29일~7월9일)-1일 (0) | 2019.07.03 |
日本 홋가이도(北海道)旅行 3박4일 (2016년6월26일~29일)-4일 (0) | 2019.07.02 |
日本 홋가이도(北海道)旅行 3박4일 (2016년6월26일~29일)-3일 (0) | 2019.07.02 |
日本 홋가이도(北海道)旅行 3박4일 (2016년6월26일~29일)-2일 (0) | 2019.07.01 |